복있는 사람은 2020. 10. 15. 20:08

 

 

 

 

서식

유럽, 아프리카, 중동, 시베리아, 캄차카, 중국 동부, 히말라야, 일본에서 번식한다. 지리적으로 7아종으로 나눈다. 흔한 나그네새이며 흔한 겨울철새다. 10월 초순에 도래해 월동하며, 5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2015년 5월 경기도 포천에서 번식이 확인되었다.

행동

평지에서 아고산대의 산림에 서식한다. 비번식기에도 단독으로 생활한다. 작은 곤충, 조류, 쥐 등을 포식한다. 한배 산란수는 4~5개이며, 포란기간은 32~34일이다. 새끼는 24~30일간 둥지에 머문다.

특징

조롱이와 혼동하기 쉽다. 날 때 몸바깥쪽의 첫째날개깃 6장이 붙어 있지 않고 갈라진다(칼깃 6장). 노란색 눈테가 조롱이보다 폭 좁다. 멱에 흑갈색 세로 줄무늬가 여러 줄 있다.

수컷

몸윗면은 청흑색, 귀깃 아랫부분과 가슴옆 부분에 주황색이 있다. 몸아랫면은 흰색이며 주황색 가로 줄무늬가 있다. 홍채는 등색을 띠는 노란색이다.

암컷

수컷보다 뚜렷이 크다. 몸윗면은 회갈색인 경우가 많다. 흰 눈썹선은 수컷보다 더 뚜렷하다. 몸아랫면은 흰색에 가는 흑갈색 가로 줄무늬가 흩어져 있다. 홍채는 노란색이다.

어린새

몸윗면의 깃 가장자리는 황갈색으로 비늘무늬가 있다. 수컷은 눈썹선이 약하며 암컷은 흰색이 뚜렷하다. 귀깃은 흑갈색이며 귀깃 뒤에서 뒷목까지 적갈색 바탕에 검은 줄무늬가 있다. 멱에서 앞가슴까지 V자 형 적갈색 줄무늬가 있으며 배와 옆구리에 一자 형 가로 줄무늬가 있다. 몸아랫면의 줄무늬는 조롱이보다 가늘고 조밀하다.

닮은종

조롱이 : 날 때 몸바깥쪽의 첫째날개깃 5장이 붙어 있지 않고 갈라진다. 멱에 가는 흑갈색 세로 줄무늬가 1열 있다.

분류문화재 지정서식지크기학명

수리과(Accipitridae)
천연기념물 323-4호
유럽, 아프리카, 중동, 시베리아, 캄차카, 중국 동부, 히말라야, 일본에서 번식한다.
수컷 33~34.5cm, 암컷 40~41cm
Accipiter nisus Eurasian Sparrowhawk